반응형
RGB CMY HSV 컬러 모델들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갑시다.
1) RGB
삼중 자극이론(Tri-Stimulus Theory)
원추세포는 파장 630nm(빨강), 530 nm(녹색), 450nm(청색)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
가산모델
•빛의 합성(예: 모니터)
•R+G = Y, G+B = C, B+R = M
•RGB의 보색은 CMY
2) CMY
감산모델
•물감의 합성 (예: 프린터)
•W - G(Complement of Magenta) = R + B = Magenta
•(W - G) - R(Complement of Cyan) = Blue
•(W - G - R) - B(Complement of Yellow) = Black
2-1) CMTK
•C = 120, M = 80, Y = 200
•C = 40, M = 0, Y = 120, K = 80
•잉크 건조시간, 잉크 비용
•정밀한 회색농도를 표현(완벽한 보색차단)
3) HSV
•직관적이지 않다. 보라색 = R, G, B 각각 얼마?
•또는 HSB(Hue, Saturation, Brightness)
•색상(Hue), 채도(Saturation), 명도(Value, Brightness)
•화가의 직관
§셰이드 = 어떤 색상에 흑색을 섞음. 채도와 명도를 동시에 낮춤.
§틴트 = 어떤 색상에 백색을 섞음. 채도는 낮추고 명도는 높임.
추가적 참고자료(인터넷에서 구했습니다)
반응형
'Computer Vis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퓨터 비전(Computer Vision)과 컴퓨터 비전 시스템 (0) | 2015.05.05 |
---|---|
빛의 성질 (1) | 2015.02.17 |
카메라모듈 제작 공정 (0) | 2015.02.07 |
카메라 모듈 활용분야 (0) | 2015.02.07 |
카메라모듈이란 Camera Module (0) | 2015.02.05 |